본문 바로가기
건강픽

대상포진 전염되나? 전염성과 예방 안내

by azayap 2025. 3. 15.
반응형

대상포진 전염되나? 전염성 및 예방 안내

대상포진이 전염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마도 수두 바이러스와 연관이 있어서 그러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이번에는 대상포진 전염의 진실부터 예방법까지 정리하면서 팩트 체크를 해보려고 한다. 

 

 

관련 글이 궁금하다면?

2025.03.18 - [건강픽] - 대상포진 후유증과 재발률! 통증 관리법

 

대상포진 전염될까? 진실은!

2024년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대상포진은 직접적으로 다른 사람한테 옮기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오해가 생기는 부분이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 바이러스가 수포를 통해 다른 사람한테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게 바로 대상포진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공기를 통한 전염은 거의 없고 주로 수포(물집)를 직접 접촉했을 때 전염된다고 한다.

 

수두와의 연관성은?

 

 

대상포진은 수두를 앓았던 사람이 면역력이 떨어질 때 바이러스가 깨어나서 생기는 질환이다. 이미 수두를 겪은 사람은 항체가 있어서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해도 괜찮다. 그러나 수두를 앓지 않은 사람,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기나 노인은 조심해야 한다. 이 경우 대상포진 환자의 수포에서 바이러스가 옮아서 수두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엄마가 대상포진에 걸렸을 때 나도 살짝 걱정했는데, 다행히 나는 어릴 적에 수두를 앓은 적이 있다. 

 

대상포진 전염 경로와 조건

앞서 이야기했듯, 대상포진은 주로 환자의 수포와 직접 접촉했을때 전염된다. 특히, 수포액이 다른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닿으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 물건을 통한 간접 접촉도 조심할 필요가 있다. 환자가 쓴 수건이나 옷에 묻은 바이러스가 손에 묻을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공기 중에 퍼지는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료원에서도 대상포진은 수두와 달리 공기를 통한 전염이 거의 없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미국 CDC에 따르면 면역력이 매우 약한 상태라면 극히 드물게 공기 전염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연구도 있다. 

 

가족 간 대상포진 전염 예방

가족 중에 대상포진 환자가 있다면 전염 예방을 위해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수포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수포를 절대 만지지 말고, 손 자주 씻는다. 환자가 쓰는 수건, 옷은 따로 놔서 세탁을 한다. 우리 집에서도 엄마가 대상포진에 걸렸을 때 세탁을 따로 했다. 개인 물품도 공유하지 말고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면 걱정을 덜 수 있다. 

전염성이 줄어드는 수포가 딱지로 변하는 시기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 

 

 

 

환자 관리

수포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덮는 게 중요하다. 거즈나 붕대로 감싸면 진물이 새는 걸 막아준다. 환자도 손을 자주 씻고 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긁으면 바이러스가 퍼질 가능성도 있고 2차 감염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급적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전염성 줄이는 실천 가이드

 

 

면역력 높이기

면역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면역력이 떨어지는데 스트레스 관리를 평소에 잘 하는 것이 좋다.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은 면역력 관리에 도움을 준다. 50세 이상이라면 대상포진 예방 접종을 받으면 대상포진 발병률을 낮추고 만약 걸리더라도 증상이 경미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대상포진은 전염성이 낮지만 수포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면역력이 강한 몸이 최고의 방어 수단이므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서 면역력 관리에 신경 쓰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를 바란다.

 

 

2025.03.14 - [건강픽] - 대상포진 초기 증상과 원인, 증상별 대처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