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법원인터넷등기소2

이사 후 정부24로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하고 확정일자 받고 우편물 주소 변경 한번에 하기 이사 후 이사짐 정리하고 정부24로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하기확정일자 받고 우편물 주소 변경 한 번에 하기  이사를 하고 이사짐 정리를 끝내고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다. 이사 후에 해야 하는 중요한 절차들이다. 예전에는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전입신고를 했는데 이번에는 정부24를 통해 온라인으로 해보기로 했다. 확정일자는 임대차 계약을 맺은 경우에만 해당되어서 매매 계약을 한 나의 경우는 해당이 안 되지만 같이 정리해 본다.  이사 후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하는 이유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하면 새로운 거주지로 주소지를 옮기는 전입신고를 하는 것은 필수다. 이 절차를 통해 주민등록상 주소를 변경하게 되는데 법적으로 14일 이내 완료해야 한다. 만약 이 기간을 넘기면 5만 원 이하의 .. 2025. 3. 1.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직접 전세권 설정 해지하기와 집주인이 대출로 보증금 반환하려고 하면? 온라인으로 법무사 없이 직접 전세권 설정 해지하는 방법과 집주인이 대출로 보증금을 반환하려고 하면?  12월에 이사를 간다. 지금 살고 있는 곳은 입주할 때 전세권 설정을 했었다. 새로 들어올 세입자가 드디어 집주인과 계약을 했고 이사 준비를 본격적으로 해야 한다. 그첫 번째로 전세권 설정 해지 준비다. 지금 살고 있는 곳은 전세 잔금을 치를 때 전세권 설정을 했었다. 전세권 설정 해지는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고 퇴거할 때 반드시 필요한 절차다. 법무사를 통해 전세권 해지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에는 법무사 없이 스스로 전세권 해지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나도 그래서 직접 해보기로 했다.   전세권 설정 해지를 위한 서류 준비1. 전세권 말소등기신청서전세권 설정 해지를 위한 필수 서류.. 2024. 11. 18.
반응형